JavaScript

[혼공JS] 4주차_24.07.22-07.28

namerong 2024. 7. 28. 01:16

4주차 진도 [Chapter 05]

 

- 프로시저 형태 함수

1.

 

2. 

 

→  반복문을 함수적용해서 작성

sum 함수 적용

 

- 수학적 함수

→  반복문을 함수적용해서 작성

sum 함수 적용

 

 

 

function 코드의 집합을 나타내는 자료형으로 '기능'을 의미한다.

 

- 익명함수 : 이름이 붙어있지 않은 함수. function () {} 형태로 만든다.

  이름이 없기 때문에 변수에 넣어서 사용한다.

 

- 선언적 함수 : 이름이 붙어있는 함수. function 함수이름 () {} 형태로 만든다.

  function 키워드를 이용하여 함수를 선언한다.

 

* 익명함수와 선언적 함수의 가장 큰 차이는 호출 순서의 차이다.

익명 함수 : 코드를 위에서 아래로 읽은 순서대로 실행하기 때문에 함수를 호출하기 전에 먼저 선언해야 실행할 수 있다.

선언적 함수 : 웹 브라우저에서 코드를 위에서 아래로 읽기 전에 선언적 함수부터 읽기에 함수를 선언하기 전에 호출해도 오류없이 실행된다.

 

return 함수를 실행햇던 위치로 돌아가게 하는 것

  리턴값을 가지는 함수는 반드시 리턴할때 반환하는값이 있어야 한다. 

- 조기 리턴 : 함수 내 필요한 위치에서 return 키워드를 사용하는 것

 

-return value (리턴값) : 함수의 실행 결과값 // 함수의 최종 결과

* input = 매개변수 > 함수 > output = 리턴값

 

- 매개변수 : 함수를 호출할 때 필요한 데이터를 외부에서 받기 위해 사용하는 것

  괄호 안에 적는다.

자료 > 함수 → f(매개변수)

 

- 나머지 매개변수 : 호출할 때 매개변수의 개수가 고정적이지 않은 함수를 가변 매개변수 함수라고 부르는데

            자바스크립트에서는 나머지 매개변수로 구현한다.

            나머지 매개변수는 매개변수 앞에 ...을 붙여서 선언한다. (나머지 매개변수는 1개만 / 매개변수 마지막 위치에서만)

const 함수 = function (...매개변수) {} → 배열

 

- 전개 연산자 : 배열을 함수의 매개변수로써 전개하고 싶을 때 사용. 배열 앞에 ...을 붙여서 사용

함수(...배열)

 

- 기본 매개변수 : 매개변수에 기본값을 지정할 때 사용. 기본 매개변수는 매개변수의 오른쪽에 사용하여 구현

* 매개변수 오른쪽 구현 → 함수 이름(매개변수, 매개변수=기본값)

 

 

- 비동기 프로그래밍 : 요청과 결과가 동시에 일어나지 않는 것을 의미.  코드가 작성된 순서대로 실행되는 것이 아니라 행위를 요청한 뒤, 그 결과를 기다리지 않고 다른 코도를 실행하여 실행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그대로 흐름을 이어가는 것을 말한다.

 

p.221 

- 콜백 함수

함수를 매개변수로 전달하는 함수

const 테스트 = function (콜백함수) {

  콜백함수 ()

}

 

- 화살표 함수

콜백 함수를 쉽게 입력하는 함수 생성 방법. ()→{} 형태로 함수를 만들고, 리턴값만을 가지는 함수면 (매개변수)=>리턴값으로 간편하게 사용

 

-메소드 체이닝

어떤 메소드가 리턴하는 값을 기반으로 여러 메소드를 이어서 호출하는 문법 / 코드가 간결해서 하나의 문장처럼 읽히게 하는 장점

 

-스코프

변수에 접근할 수 있는 범위. 중괄호나 함수를 사용해서 블록을 만들어 준다.

* 전역 스코프 : 어느 곳에서도 해당 변수에 접근 할 수 있다.

* 지역 스코프 : 범위를 벗어난 곳에서는 해당 변수에 접근할 수 없다.

 

- 새도잉

함수 외부에서 선언한 변수를 함수 내부에서도 같은 이름으로 변수 선언하여 사용할때, 함수 내부의 변수가 함수 외부의 변수를 가리는 현상.

해당 함수 내부에서 선언된 변수만 인식하기 때문에 변수가 서로 충동하지 않는다.

 

- 엄격모드

코드를 엄격하게 검사하는 기능. 기존으 자바스크립트 문법을 엄격하게 적용하여 평소에 무시하던 오류를 찾아내기 때문에 보다 안전한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 스크립트 시작 혹은 함수 부분에 'use strict'라는 문자열을 선언하여 사용한다.

 

[기본숙제]

p. 202 <윤년을 확인하는 함수 만들기> 예제를 실행하여 2022년이 윤년인지 확인하는 결과 인증하기

 

[추가숙제]

p. 240 확인 문제 1번 풀고, 풀이 과정 설명하기

 

+ 추가 제출 예정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혼공JS] 6주차_24.08.12-08.18  (0) 2024.08.19
[혼공JS] 5주차_24.08.05-08.11  (1) 2024.08.11
[혼공JS] 3주차_24.07.15-07.21  (0) 2024.07.21
[혼공JS] 2주차_24.07.08-07.14  (0) 2024.07.14
[혼공JS] 1주차_24.07.01-07.07  (0) 2024.07.07